본문 바로가기

문화

가족형태의 역사적 변천

가족(家族) 형태의 역사적 변천

1. 가족의 개념과 기능

가족의 개념은 결혼이나 혈연 또는 입양으로 맺어지는 단일가 구로 형성하는 가계를 공동으로 하는 친족 집단의 구성원을 말하며, 가구원은 전부 가족원만으로 이루어진 가구로서, 둘 가구는 가족과 완전히 일치하여야 한다.

가족의 기능은 부부간의 성적요구 충족의 기능, 애정의 기능, 우정의 기능, 생식의 기능, 양육의 기능, 경제적 기능, 보육의 기능, 보호의 기능, 가족 휴식의 기능, 오락의 기능, 종교적 기능 등이다.

2. 가족형태의 역사적 변천

1) 신라시대

신라시대의 가족의 형태는 부모, 아우, 자매, 서형 등으로 되어있으며, 자매와 형제간, 적자와 서자 간의 차별이 없었으며, 딸, 사위, 처부모와 동거하는 가족이 많았다.

2) 고려시대

고려후기의 자료에 의하면, 부부와 미성년 자녀, 부부와 배우자가 없는 자녀, 처부와 체모를 포함한 가족, 사위를 포함한 가족, 자매를 포함한 가족, 처와 전남편의 자식을 포함한 가족 등이다.

가족 구성의 특징은 직계가족, 방계가족 등을 잠정적으로 쌍계적 방계 가족으로 구성하였다.

3) 조선시대

조선시대의 가족 유형은 과도적 가족, 부부 가족, 직계가족, 방계가족의 4개의 유형이며, 신분계층에 따른 가족형태는 양반, 상민, 천민의 세 신분으로 구분하였다.

조선 후기의 가족 특징은 직계가족보다 부부 가족이 많고, 도시나 농촌지역 간의 차이는 없었다.

신분별로는 신분이 높은 양반층이 상민, 천민층보다 직계가족의 비율이 높고, 방계가족의 비율이 낮아 배우자와 함께 부모 집에서 동거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4. 근대와 현대시대

근대와 현대시대에는 부부가족의 비율은 증가하면서, 전통적 가족 유형인 직계가족의 비율과 방계가족의 비율도 감소하였다.

직계가족의 감소현상은 부부 가족의 증가와 직계, 방계가족의 감소는 도시지역이 농촌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1대 2대 가족 비율이 높고, 3대 이상은 가족 비율이 낮았다.

 

결국, 가족원수에 따른 가족분포를 보면, 소인수 가족이 증가하고, 다수인 가족은 감소하거나 소멸되었다.

현대에서는 가족이란 것은, 한 집에서 같이 살면서, 한 솥밥을 먹는다는 의미에서 한 식구로서 일상생활을 같이 하며, 가족 상호 간의 사랑으로 화목한 가정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종교의 역사적 전개과정  (0) 2021.11.24
남편과 아내의 상관성  (0) 2021.11.19
한국문화의 역사에 관하여  (0) 2021.11.15
먹고살기 위한 문화경제  (0) 2021.11.15
행운은 어떻게 오는가?  (0) 2021.11.06